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리눅스
- 부트캠프
- comdef
- mysql
- fastify
- 웹 SW
- 홈 디렉토리
- 출력 명령어
- SSAFY입학
- Java 입력
- 지속적 전달
- char 입력
- DevOps
- fastify-cli
- ECS
- MongoServerSelectionError
- 프로세스
- 백준
- dfs
- 코드스테이츠
- docker
- 설치형 SW
- c++
- OpenSearch
- neofetch
- zshrc error
- ci/cd
- 수직확장
- cli
- docker context creat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otenv (1)
다디와 괴발개발
환경변수 사용법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환경변수와 .env 파일을 많이 맞이하게 될 것이다. 이 환경변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환경변수란? 하나의 변수 이름을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가능한 것 API Key, DB Password등, 민감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서로 다른 PC 또는 여러 .env 파일에서 같은 변수 이름에 다른 값을 할당 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 보통 개인용과 기업용 API 키가 다른데,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환경을 구분해 코드 작성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쉘에서 환경변수를 확인하고 임시 적용할 수 있는 export와, 자바스크립트에서 환경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dotenv와 Node.js에서 환경변수를 영구적용할 때 사용하는 .env파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export : 환경변..
DevOps/Linux
2022. 3. 30. 1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