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지속적 전달
- comdef
- docker
- fastify
- char 입력
- 홈 디렉토리
- DevOps
- 부트캠프
- 웹 SW
- c++
- Java 입력
- OpenSearch
- ci/cd
- SSAFY입학
- MongoServerSelectionError
- 백준
- fastify-cli
- 수직확장
- 리눅스
- 코드스테이츠
- 프로세스
- 설치형 SW
- mysql
- docker context create
- ECS
- neofetch
- dfs
- zshrc error
- cli
- 출력 명령어
- Today
- Total
목록DevOps (26)
다디와 괴발개발
Project1 에서 WAS 서버를 만들기 위해 Fastify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Node.js 기반 백엔드를 구현하였다 Fastify 란? Node.js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최소한의 오버헤드와 강력한 플러그인 아키텍처를 자랑하는 프레임워크이다. 프로젝트에서는 Fastify 프레임워크를 cli로 쉽게 다루기 위해 fastify-cli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fastify-cli 공식 Github GitHub - fastify/fastify-cli: Run a Fastify application with one command! Run a Fastify application with one command! Contribute to fastify/fastify-cli development by creatin..
조오오금이 아니라 아주 많이 늦게 업로드하지만 드디어 올리는 Codestates DevOps 부트캠프 첫 번째 프로젝트 정리 글! 이번 문서에서는 첫 번째 프로젝트의 목표와 프로젝트 제작을 위해 제작하였던 기능정의서, DB 제작을 위한 ERD, API 통신을 위한 API 문서를 정리해보았다! 목표 CRUD 기능을 가진 API 서버를 완성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합니다. 데이터를 모델링하고, API 문서화를 진행합니다. Git을 이용한 협업을 진행합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인 만큼 목표는 간단하게 로컬에서 돌아가는 WAS 서버를 제작하는 것이다. DevOps 부트캠프에서는 프론트는 다루지 않기 때문에 프로젝트 목표에 프론트엔드 구현은 포함되지 않는다 기술 스택 ..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Mysql RDS를 로컬에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다 EC2에서 RDS에 접속하는 방법과 동일한 쉘을 이용해서 접속하는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준비사항 컴퓨터에 Mysql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mysql을 설치해준다 필자는 Mac이므로 brew를 통해 설치해주었다 brew install mysql 접속 방법 쉘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한다 mysql -h 호스트_엔드포인트 -u 유저이름 -p 호스트 엔드포인트는 RDS의 엔드포인트를 말한다 -p 옵션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나면 쉘 모양이 mysql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접속 성공! 원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기 show databases를 통해 database이름을 확인할 수 있고, use d..
쉘을 다루다보면 빠질 수 없는 관리자 권한. 그냥 명령어를 입력했다가는 permission denied 에러가 출력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관리자 권한과 sudo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이유 관리자 권한은 왜 필요할까? 사용자의 실수로 시스템 에러가 발생하거나, 해커의 공격으로 인해 운영 체제에 시스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막기 위해 만들어둔 안전장치가 관리자 권한이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블루 스크린을 한 번쯤은 들어보거나 겪어보았을 텐데, 블루 스크린은 예상치 못한 프로그램의 충돌로 시스템이 마비될 때 생기는 현상이다. 관리자(root) 권한 리눅스의 관리자 영역은 절대 경로의 기준점인 루트 폴더(/)에 해당한다. 리눅스 관리자의 큰 특징은 어떤..
첫 회고 쓴지 얼마 되지도 않은 것 같은데 벌써 두 번째 회고를 작성하게 되었다... 일단 두 번째 섹션 동안 가장 많이 느꼈던 것은 AWS랑 많이 투닥투닥하지만 친한 친구가 된 것 같은 그런 느낌이 많이 들었다ㅋㅋㅋㅋ 진짜 밀당의 달인이다. 안된다며 에러 삑삑 내면서 밀어낼 땐 언제고, 지쳐갈 때 쯤에 성공이라며 나를 괴롭힌다.. 나쁜남자 AWSㅠㅠ 나도 가만히 있을순 없지, 다음 프로젝트때는 반드시 이 나쁜녀석에게서 주도권을 뺏을거다 쒸익 쒸익 😡 회고에 앞서, 이번 섹션 회고도 역시 KPT(Keep, Problem, Try) 회고 방법을 사용해서 작성해볼 예정이다. 두 번째 섹션 동안 배운 내용을 쭉 적어보면, 네트워크 기초 AWS Docker YAML 지속적 통합 배포 자동화 마이크로 서비스 오프..
쉘(Shell) 이란? 쉘은 운영체제의 기능이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명령어를 사용자에게 받아 실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즉, 사용자와 운영체제의 사다리 역할을 해주는 것이 쉘. 리눅스는 bash 쉘을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sh 파일 만든 후 실행해보기 first.sh 파일을 생성해준 후, 실행해보자. # first.sh echo Hello World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파일을 실행하기에 앞서, chmod로 권한을 부여해주어야 실행이 가능하다. chmod 755 first.sh # 755는 소유자만 모든 권한을 갖고있고, 그 외 사용자는 읽기, 실행은 가능하나 쓰기는 불가능하다. (쓰기, 읽기, 실행) ./first.sh # 파일 실행 이번에는 first2.sh 파일을 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환경변수와 .env 파일을 많이 맞이하게 될 것이다. 이 환경변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환경변수란? 하나의 변수 이름을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가능한 것 API Key, DB Password등, 민감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서로 다른 PC 또는 여러 .env 파일에서 같은 변수 이름에 다른 값을 할당 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 보통 개인용과 기업용 API 키가 다른데,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환경을 구분해 코드 작성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쉘에서 환경변수를 확인하고 임시 적용할 수 있는 export와, 자바스크립트에서 환경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dotenv와 Node.js에서 환경변수를 영구적용할 때 사용하는 .env파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export : 환경변..
이전 게시글에서는 파이프라인과 리다이렉션을 알아보았다. 출력 관련 명령어를 알아보고 파이프라인과 리다이렉션을 화려하게 써보자 wc : 파일의 라인, 단어, 문자열 개수 count 그냥 wc 명령어만 사용하면 line, word, character의 개수를 모두 출력해주고, 옵션으로 원하는 것만 출력해줄 수도 있다. wc myfile.txt wc -l mylife.txt # line의 개수 wc -w mylife.txt # word의 개수 wc -c mylife.txt # character의 개수 wc를 입력했을 때, 차례대로 line, word, character의 결과와 파일 이름이 함께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at : 파일의 컨텐츠를 출력 필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로, 파일의 컨텐츠 ..